__재테크 공장

연금저축 한도 총정리: 연 1,800만원 납입, 최대 900만원 세액공제 받는 완벽 전략



💎 연금저축 한도 총정리: 연 1,800만원 납입, 최대 900만원 세액공제 받는 완벽 전략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연말정산과 노후 준비를 위해 연금저축 계좌를 만듭니다. 하지만 '얼마까지 넣어야 최대 혜택을 받는지', '세액공제 한도와 저축 한도가 왜 다른지' 헷갈리는 분들이 많습니다.

연금저축은 단순한 저축을 넘어, 세금 혜택복리 투자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재테크 수단입니다.

이 글에서는 연금저축 계좌의 저축 한도(납입 한도)세액공제 한도를 명확히 구분하고, 최대 혜택을 받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알려드립니다.

1. 연금저축의 '저축 한도'와 '세액공제 한도' 구분하기

연금저축 계좌에는 '납입할 수 있는 최대 금액'과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이 따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 두 가지 한도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분 연금저축 계좌 (연금저축펀드/보험 등) IRP 계좌 (개인형 퇴직연금) 총 합계
저축 한도 (납입 가능 최대 금액) 연 1,800만원 연 1,800만원 연 1,800만원 (공통)
세액공제 한도 (세금 혜택 최대 금액) 600만원 900만원 (총합 기준) 900만원

① 저축 한도: 연 1,800만원 (납입 총액 기준)

  • 이 금액은 세액공제를 받든 안 받든 연금 계좌에 입금할 수 있는 한도입니다.
  • 세액공제 한도(900만원)를 초과하여 납입한 금액(최대 900만원)은 연말정산 혜택은 없지만, 계좌 안에서 운용 수익에 대한 과세 이연 혜택과 연금 수령 시 저율 과세 혜택은 동일하게 누릴 수 있습니다. (즉, 세금 없는 복리 효과는 계속됨)

② 세액공제 한도: 연 최대 900만원 (세금 혜택 기준)

연금저축 계좌와 IRP 계좌를 합쳐서 1년에 최대 900만원까지만 세액공제 대상이 됩니다.

  • 세액공제는 납입액에 따라 13.2% 또는 16.5%를 환급받는 '확정 수익'과 같습니다.
    • 총급여 5,500만원 이하 (종합소득 4,500만원 이하): 16.5%
    • 총급여 5,500만원 초과 (종합소득 4,500만원 초과): 13.2%

2. 최대 세액공제(900만원)를 위한 황금 분할 전략

세액공제 한도 900만원을 효과적으로 채우기 위해서는 연금저축 계좌와 IRP 계좌를 함께 활용해야 합니다.

분할 방법 연금저축 계좌 IRP 계좌 세액공제 합계 비고
최대 효율 전략 600만원 300만원 900만원 연금저축을 먼저 채우는 것이 유리 (투자 자유도 높음)
연금저축 단독 900만원 납입 0원 600만원 세액공제 한도 300만원 손해
IRP 단독 0원 900만원 납입 900만원 모든 돈이 위험자산 70% 제한을 받음
💡 핵심 전략: 연금저축 (600만원) 먼저, IRP (300만원) 나중
  1. 연금저축 계좌에 먼저 연 600만원을 채워 넣으세요. 연금저축은 ETF 등에 100% 투자가 가능하여 수익률을 극대화하기 유리합니다.
  2. IRP 계좌에 추가로 300만원을 채워 넣어 세액공제 한도 900만원을 완성합니다. (IRP는 안전자산 30% 의무 투입 규정이 있으므로 수익률 측면에서 연금저축보다 불리합니다.)

3. 900만원 초과 납입의 비밀: 과세 이연 혜택

"세액공제 한도 900만원을 다 채웠는데, 남은 900만원 한도는 그냥 버리는 건가요?"

그렇지 않습니다. 연금저축 계좌에 총 납입 한도인 1,800만원까지 돈을 넣는 것은 매우 유리합니다. 세액공제는 받지 못하더라도, 과세 이연 혜택이 계속되기 때문입니다.

① 연금저축 (펀드)의 '과세 이연' 효과

일반 증권 계좌에서 펀드나 ETF에 투자하여 수익이 나면, 15.4%의 이자/배당소득세를 바로 떼입니다. 하지만 연금저축 계좌에서는 납입 한도 1,800만원 내의 모든 금액에서 발생한 수익에 대해 세금을 은퇴 후 연금 수령 시까지 미뤄줍니다.

예시: 연 10%의 수익이 발생했을 때, 일반 계좌는 세금 15.4%를 떼고 8.46%만 재투자되지만, 연금저축 계좌에서는 세금 없는 10% 전체가 재투자되어 복리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② 연금 수령 시 세금 우대

납입 한도 1,800만원 내의 금액은 만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할 때, 소득에 따라 3.3% ~ 5.5%의 저율 연금소득세만 내게 됩니다. 이는 일반 투자 계좌의 15.4% 세금보다 훨씬 낮은 수준입니다.

4. 연금저축 한도 활용 최종 액션 플랜

순위 계좌 납입 금액 혜택 이유
1순위 (필수) 연금저축 연 600만원 최대 세액공제 100% 공격적 투자 가능 + 높은 세액공제
2순위 (필수) IRP 연 300만원 세액공제 한도 완성 세액공제 총 한도 900만원 완성
3순위 (추천) 연금저축/IRP 추가 900만원 과세 이연 + 저율 과세 세금 없는 복리 효과 극대화
결론: 연금저축은 세액공제 한도(900만원)를 채워 확정 수익을 확보하는 것과, 납입 한도(1,800만원)를 활용해 과세 이연 복리를 극대화하는 두 가지 전략을 동시에 써야 하는 최고의 절세 계좌입니다. 지금 바로 당신의 납입 계획을 1,800만원 목표로 수정해 보세요!